코비코는 사람, 기술, 품질을 중시합니다.

  • 홍보센터
  • 공지사항
코비코(주)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2025-07-10

[서울=뉴시스] 고용노동부 로고. (자료=뉴시스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고용노동부는 10일 “대화와 협력을 바탕으로 상생의 노사문화를 실천한 기업 40곳을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총 140개 기업이 신청했으며, 서면심사와 사례 발표 등을 거쳐 중소기업 19곳, 대기업 13곳, 공공기관 8곳이 뽑혔다.

대표 사례인 엠스텍(중소기업, 소프트웨어 개발)은 2021년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철수로 위기를 맞았지만, 노사가 힘을 모아 신사업을
발굴하고 직무 재배치를 통해 고용을 유지했다. 성과는 직원들에게 고루 나눠, 회사 이익의 60%를 성과급으로 지급하고, 대표이사 경영
메시지와 노사 핫라인 운영 등을 통해 내부 신뢰를 다졌다.

코비코(차량부품 제조)는 IMF 외환위기로 부도를 겪은 회사를 전 직원이 퇴직금 출자 방식으로 살려낸 종업원 지주회사다. 이후 25년간 무분규를
이어오고 있으며, 노사는 통상수당 기본급화 이후 인건비 부담을 감안해 임금을 동결하고, 정년퇴직자 재고용, 협력사 성과 공유
등에도 나서고 있다.

정우금속공업(배관부속 제조)은 2021년 118일간의 장기파업 이후 최고경영진의 직접 교섭, 교섭 차수 단축, 노사 소통 창구 통합 등을 통해 갈등을 봉합하고
3년 연속 무분규를 유지 중이다.

공공기관 중에서는 대구교통공사가 필수유지업무 사업장 최초로 ‘복수노조 솔루션’ 협약을 도입해 자율 타결 문화를 정착시킨 사례가 주목받았다.
이 회사는 최근 148명의 신규 정규직 채용,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교통약자 대상 차량 무료 대여 등도 추진했다.

이외에도 ▷분규 이후 복지제도와 임금체계를 개선한 ㈜이이더블유코리아 ▷매주 정기 간담회로 노사 갈등을 해소한 전국렌터카공제조합 ▷노사 동수 의결구조를
운영하는 제주특별자치도개발공사 ▷ESG 상생협약과 장애인 고용을 확대해온 롯데칠성음료 등도 포함됐다.

노사문화 우수기업으로 선정되면 향후 3년간 정기 근로감독 면제, 모범 납세자에 한한 세무조사 유예, 대출금리 우대, 병역지정업체 가점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이 가운데 일부 기업은 연말 ‘노사문화대상’에도 도전할 수 있다.

고용부는 “노사협력은 위기 극복과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의 핵심”이라며 “우수기업의 사례가 민간 전체로 확산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